서양과 일본 애니메이션은 각기 다른 문화적 배경과 예술적 전통 속에서 발전해 왔다. 디즈니를 비롯한 서양 애니메이션은 명확한 서사 구조와 화려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발전해 왔다면, 일본 애니메이션은 감성적인 연출과 깊이 있는 주제로 세계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지브리 스튜디오의 창립자이자 일본 애니메이션을 대표하는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가 있다. 그의 작품은 일본 애니메이션만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서양 애니메이션과의 차이를 극명하게 드러낸다.
1. 서양과 일본 애니메이션, 무엇이 다를까?
서양과 일본 애니메이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야기 구조, 캐릭터의 감정 표현 방식, 그리고 영상미에서 나타난다.
1) 이야기 구조의 차이
서양 애니메이션은 기승전결이 뚜렷한 서사 구조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조셉 캠벨의 ‘영웅의 여정(Hero’s Journey)’ 과 비슷한 구조로 풀어 나간 스토리텔링이 일반적이다.디즈니나 픽사의 작품을 보면, 주인공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거쳐 결국 해피엔딩을 맞이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일본 애니메이션은 보다 감성적이고 철학적인 메시지를 담는 경우가 많다.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만 봐도 그렇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나 하울의 움직이는 성 같은 작품들은 전형적인 영웅 서사를 따르지 않는다.오히려 인간 내면의 성장, 환경과의 조화, 삶과 죽음 같은 깊은 주제를 다루며 열린 결말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2) 캐릭터의 감정 표현 방식
서양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들은 표정이 크고 동작이 과장된 경우가 많다.이는 연극적인 표현 방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픽사와 디즈니의 영화에서는 캐릭터의 감정이 얼굴에 뚜렷하게 드러난다.
반면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는 섬세한 감정 표현을 중요하게 여긴다.예를 들어,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서는 캐릭터가 침묵하는 순간조차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바람이 분다나 귀를 기울이면 같은 작품을 보면, 대사보다는 미묘한 표정 변화나 배경 연출을 통해 감정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2.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 일본 애니메이션의 본질을 담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은 일본 애니메이션이 지닌 특성을 가장 잘 보여준다.
1)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를 허물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은 현실과 판타지를 자연스럽게 융합한다.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현대 일본 사회를 살아가는 소녀가 신비로운 영혼의 세계로 들어가게 되고,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는 마법과 인간 세계가 공존한다.이는 일본의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스타일과 신토(神道) 사상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서양 애니메이션에서는 보기 힘든 독창적인 요소다.
2) 자연과 인간, 공존의 메시지
미야자키 하야오가 강조하는 또 다른 요소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다.바람 계곡의 나우시카와 모노노케 히메에서는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면서 생기는 갈등을 다루며, 결국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이는 단순한 환경 보호 메시지를 넘어서, 일본의 자연 중심적 세계관과 연결된다.
3) 여성 캐릭터의 새로운 정의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서 여성 캐릭터들은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독립적이고 강한 캐릭터로 그려진다.마녀 배달부 키키의 키키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치히로는 누구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며 성장한다.이는 기존 서양 애니메이션의 전형적인 여성 캐릭터와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3. 미야자키 하야오가 애니메이션 산업에 미친 영향
미야자키 하야오는 일본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전 세계 애니메이션 업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 일본 애니메이션의 세계적 인기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은 일본 애니메이션이 단순한 킬링 타임용 취미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예술 분야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특히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하면서, 일본 애니메이션의 위상이 크게 상승했다.
2) 서양 애니메이션에도 영향을 끼치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은 서양 애니메이션 감독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픽사의 존 라세터는 미야자키 하야오를 존경한다고 여러 번 언급했으며, 코코나 인사이드 아웃 같은 작품에서도 그의 감성이 일부 반영된 것을 볼 수 있다.